제 4 권
韓國敎會의 復興運動(중권)
박해(迫害)가 끝날 때부터 조선교구(朝鮮敎區)를 설정할 때까지(1802~1831)
제 1 장
성직자(聖職者) 영입(迎入)의 청원(請願)
조선교회의 참상(慘狀)
조선신자들이 북경주교(北京主敎)에게 보낸 편지
조선신자들이 교황(敎皇)에게 보낸 편지- 새 순교자(殉敎者)들
1. 조선교회(朝鮮敎會)의 참상(慘狀) - 박해(迫害)는 멎었지만
① 신유년(辛酉年)의 마지막 날은 또다시 여러 천주교인의 처형(處刑)으로 붉게 물들었는
데, 임술(壬戌, 1802)년이 되면서부터는 조선천주교회에 비교적 평온(平穩)한 시기가
시작되어, 신입교우(新入敎友)들이 약간 숨을 돌릴 수가 있게 되었다.
그것은 평화(平和)도 아니요, 자유(自由)는 더구나 아니었다. 그러나 격심(激甚)하던
박해(迫害)가 다소 누그러졌고, 관원(官員)들과 망나니들은 한동안 행동을 중지(中止)
하였다.
박해(迫害)를 치르고 난 바로 뒤의 조선천주교회(朝鮮天主敎會)가 얼마나 어수선하
고, 비참(悲慘)하며 붕괴(崩壞)된 상태(狀態)에 있었는지를 이루 다 말하기는 실로 어
렵다. 교형(敎兄)들을 지도(指導)하고, 권면(勸勉)하고, 격려(激勵)할만한 뛰어난 사람
들은 모두가 사형(死刑)을 당하였다.
명문거족(名門巨族) 중에는 여자와 아이들만 남아 있는 집안이 많았다. 천주교의 광
적(狂的)인 원수(怨讐)들이 애써 잡으려 들지 않았던 가난한 자들과, 천민(賤民)들은
서로 연락(連絡)도 없이 뿔뿔이 흩어져, 적의(敵意)로 가득찬 외교인(外敎人)들 틈에
끼어 살게 되니, 이 외교인(外敎人)들은 일반 여론(與論)에 큰 힘을 얻어, 신자(信者)들
을 천만가지로 괴롭히고 그들을 종과 같이 다루었다.
② 입으로만 신앙(信仰)을 배반(背反)하고, 마음속으로는 아직도 신앙을 보존(保存)하고
있던 수많은 배교자(背敎者)들은, 다시 신자의 본분(本分)을 지키기가 무서워서, 그저
몰래 몇 가지 기도(祈禱)나 그럭저럭 드리는 형편(形便)이었다.
성물(聖物)과 성경(聖經)은 거의 모두가 파괴되었고, 조금 남아 있는 것 마저도, 땅속
에 묻거나 담 구멍 속에 감추어져 있었다. 아직 신덕(信德)이 굳지 못한 신입교우(新入
敎友)들은, 어떤 교훈(敎訓)도 어떤 정신적 원조(援助)도 받지 못하게 되니, 실망(失望)
한 나머지, 그들에게 그렇게도 많은 고통(苦痛)을 가져다주는 천주교(天主敎)를 그만
버리고 마는 일이 많았다.
③ 관청(官廳)에서 귀양을 보낸 사람들이나, 자진하여 아주 멀고 궁벽(窮僻)한 지방으로
이사(移徙)하여 간 사람들의 처지(處地)는 훨씬 더 비참(悲慘)한 것이었다.
이들의 처지를 이야기하는 데에는 신태보(申太甫) 베드로가 겪은 시련(試鍊)에 대하
여 쓴 것을 소개(紹介)하는 것보다 더 적절(適切)한 것은 없을 것이다. 이 용감(勇敢)한
신자는 주문모(周文謨) 신부를 가까이하여, 성사(聖事)를 받으려고 무진 애를 썼으나,
성공하지 못하다가(상권 387~388쪽, 本稿 68~89쪽 참조), 이 뒤에 이야기가 나오겠지만, 나
중에는 순교(殉敎)의 영관(榮冠)을 받게 되었다.
이 글을 보면, 그 시절에 같은 경우에 처하여 있던, 다른 수천 명의 신자(信者) 들이
고생(苦生)하는 모습을 속속들이 알게 될 것이다.
(* 상권의 옮김을 마치고, 2주간을 쉬었습니다. 게으름을 피운 탓으로---
이번 주부터 중권의 옮김을 시작합니다. 열심히읽어주십시오)
'가톨릭 > 한국 천주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직자 영입의청원 -3 (0) | 2010.01.19 |
---|---|
[스크랩] 성직자 영입의 청원-2 (0) | 2010.01.19 |
[스크랩] 신유박해의종말 - 8 (0) | 2010.01.19 |
[스크랩] 신유벅해의 종말 -7 (0) | 2010.01.19 |
[스크랩] 신유박해의 종말 -6 (0) | 2010.01.19 |